
어떤 팀에서 어떤일을 하고 계신가요?
KT의 핵심 IT서비스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하는 Azure Migration 프로젝트의 PM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현재 Master Plan 3차 전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기획부터 일정 수립, 실무 실행까지 전환의 A부터 Z까지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이번 3차 전환은 Non-ITO 서비스들이 많아 표준 아키텍처가 미지원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OS/DB 변경과 계정관리 구조 개선을 통해 KT Azure 표준 가이드에 맞춰 설계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어떤 커리어를 걸어오셨나요?
KT CRM 시스템의 BA 업무를 시작으로 B2B 고객사의 AICC 구축 PL을 담당했고, SPC Quick-win 전환 리더를 거쳐 현재 Azure Migration PM을 맡고 있습니다. 외부 고객 AICC 프로젝트에서는 음성엔진 품질 이슈로 일정 지연 위기가 있었으나, 내부 솔루션 부서의 지원으로 품질을 개선해 목표 일정 내 완료한 경험도 있습니다.
이 일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매번 새로운 기술과 환경을 마주하며,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마치 새로운 세계를 설계하는 것 같아 큰 매력으로 다가옵니다. 호기심과 학습태도는 기본이며, 많은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균형 잡힌 조율력이 필요합니다.

Azure Migration Master Plan 3차 전환 프로젝트에서
가장 예상 밖의 기술적 이슈나 장애는 무엇이었고, 이를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현재 분석 단계 중인 이 프로젝트는 Non-ITO 서비스들이 많아 각 서비스별 아키텍처가 다르고 체계화되지 않아 설계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KT Azure 표준에서 지원하지 않는 OS/DB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표준 가이드에 맞게 변경 설계했고, 자체 구성된 계정관리나 관제 시스템도 KT 보안정책에 맞게 구조 개선을 통해 설계를 검토했습니다.
SPC 상용화 프로젝트에서 3개월 내 3종 시스템을 전환하셨다고 했는데,
가장 까다로웠던 시스템은 무엇이었고 어떤 방식으로 안정화를 이루셨나요?
클라우드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설계에 반영하셨나요?
외부 고객 대상 AICC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내부 프로젝트와 달랐던 점이나 기억에 남는 협업 사례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 과정에서
가장 큰 갈등이 있었던 순간은 언제였고, 그 때 어떤 조율 전략을 사용하셨나요?
SPC Quick-win 전환 리더로서 “신규 환경에서의 변수”를 어떻게 예측하고 대응하셨는지,
구체적인 사례가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클라우드 전환 프로젝트에서 일정과 품질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한 기준이나 의사결정 방식이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매력적이라고 하셨는데,
가장 창의적인 해결책을 적용했던 사례는 무엇이었나요?
예비 동료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