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2.0 언어모델 개발기 : 한국적인 AI를 위한 여정
안녕하세요. 저희는 KT의 Gen AI Lab에서 언어 모델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한지은(pre-training), 주형주(post-training)입니다. 이 글에서는 저희가 어떻게 믿:음 2.0 언어모델을 개발했는지, 데이터 구축부터 학습 전략, 모델 구조와 성능 평가까지 전체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KT는 2023년 말 믿:음 1.0을

25년 7월, 한국적 AI라는 이름에 걸맞게 한층 강력해진 믿:음 2.0을 새롭게 선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KT의 Gen AI Lab에서 언어 모델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한지은(pre-training), 주형주(post-training)입니다. 이 글에서는 저희가 어떻게 믿:음 2.0 언어모델을 개발했는지, 데이터 구축부터 학습 전략, 모델 구조와 성능 평가까지 전체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KT는 2023년 말 믿:음 1.0을
어떤 팀에서 일하고 계신가요? 저는 KT Language AI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대규모 언어모델(LLM) Mi:dm의 학습 전 과정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사전학습(Pre-training), 사후학습(Supervised Fine-Tuning),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까지 모델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단계들을 설계
어떤 팀에서 일하고 계신가요? 저는 KT AI Engineering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우리 팀은 모델 경량화, Serving(서빙), 그리고 기술 전략을 담당합니다. 모델 경량화는 LLM의 크기를 줄여 정확도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압축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erving은 모델을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API 형태로 제공하고, 서비
어떤 팀에서 일하고 계신가요? 저는 KT AI Alignment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자체 개발한 믿:음 2.0 모델을 기반으로, 사내·외 AX(AI Transformation) 사업에서 필요한 특화 Agent를 개발합니다. 각 사업에서 요구되는 합성 데이터 생성부터 모델 학습 및 평가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며, 태스크별 최적 성능을 달성하는
▶ KT 독자 개발 ‘믿:음 2.0’, 글로벌 벤치마크에서 “가장 안전한 한국어 LLM” 입증 ▶ AI 모델 전 생애주기 안전한 AI 거버넌스 체계 적용, 공공·교육 분야 활용성 높아 ▶ 미래 AI 기술 경쟁력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안전성” 강조, 한국적 AI 새 이정표 KT(대표이사 김영섭)가 자체 개발한 ‘믿:음 2.0’이 AI 안전성에 대한 글로벌